2023년 6월 28일부터 만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전 국민의 나이가 1~2살 적어졌습니다. 만나이 통일법의 시행으로 시작된 혼란을 해소하고자 만나이 계산 방법과 관련 법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만나이 통일법 시행
한국에서 사용되는 나이 기준은 만나이와 세는 나이가 있습니다. 세는 나이는 다음 해부터 1살씩 더해지는 방법으로 계산되며, 회자연 같은 경우 사례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2023년 6월 28일부터 세는 나이가 사라지고 만나이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국내외의 나이 표기 방법을 통일하고 혼동을 줄이고자 한 조치입니다.
2. 만나이 계산기
만나이 계산은 생일이 지났는지, 지나지 않았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생일이 지났다면 [현재연도-출생연도]로 계산하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연도-출생연도-1]으로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대부분의 경우 나이에 1~2살 정도 차이가 있게 됩니다.
만나이 계산기는 여러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되며,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만나이를 계산해 줍니다.
아래 만나이 계산기에 접속하여 여러분의 나이를 확인해보세요!
3. 법제처 만나이 통일법 Q&A
법제처에서 만든 Q&A를 통해 헷갈리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나이 계산법: 위에서 설명한 방식대로 계산합니다.
초등학교 취학 연령은 만 6세가 되는 날이 속한 다음 해 3월 1일입니다.
연급, 정년 등 법령상 나이 계산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만나이로 계산됩니다.
같은 해에 태어난 친구들 간 나이 차이는 있겠지만, 차츰 만나이에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크게 생각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나이 통일법의 도입으로 인해 국민들간의 나이 혼란이 해소되기를 바랍니다.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만나이를 확인하고 변화하는 제도에 대해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